<p></p><br /><br />백브리핑, 정책사회부 최석호 차장 나왔습니다. <br><br>Q1. 배우 윤지오 씨에게 인터폴 적색수배가 내려졌어요. 적색수배라고 하니까 엄청난 범죄를 저지른 것 같은데, 윤 씨가 그만한 죄를 저질렀나요? <br><br>장자연 사건의 증인을 자처했던 사람이죠. <br> <br>한 때 '국민영웅'으로 불리웠던 윤지오 씨가 인터폴 적색수배자가 됐습니다. <br><br>인터폴 수배는 8종류로 나뉘는데요. 이 중에서 가장 높은 단계가 적색수배라고 보면 됩니다. <br><br>살인이나 강도, 강간을 비롯한 강력사범하고요, 중간보스 이상의 조직폭력사범, 피해액이 5억 원을 넘는 경제사범이 적색수배 대상이 됩니다. <br><br>Q2-1. 이 기준이라면 윤지오 씨는 해당이 안 되는 것 아닌가요? <br><br>윤지오 씨도 SNS에 같은 내용의 글을 올렸습니다. <br><br>"애초에 나는 적색수배 대상이 아니다." <br> <br>"경찰의 강제 송환은 공익제보자 보호법과 무죄추정 원칙에 위배된다"는 내용입니다. <br><br>그런데요, 적색수배 요건이 하나 더 있습니다. <br><br>수사기관이 특별히 적색수배를 요청하는 주요사범. 경찰은 무엇보다도 윤 씨가 거짓증언을 통해서 사회적 혼란을 유발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 <br><br>특히 윤 씨는요, 3차례에 걸친 경찰의 출석요구에 응하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체포영장을 받은데 이어서 경찰이 윤 씨 신병확보를 위해 강수를 던진 겁니다. <br> <br>윤 씨는 이에 대해서도 반응을 내놨는데요, <br> <br>"내가 선택하고 걸어온 길이 힘들고 지쳤던 적은 있지만, 결코 극단적 선택을 생각하거나 무너지지는 않을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Q3. 돈 문제도 있잖아요. 후원자들에게 받은 돈을 개인용도로 썼다는 의혹을 받고 있죠? <br><br>지난 3월이죠, 윤지오 씨가 장자연 사건을 다룬 자서전을 출간합니다. <br> <br>이후에 여러가지 활동을 하는데요, 국회 의원회관에서 북콘서트를 열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당시 영상 한번 보시죠. <br> <br>[윤지오 / 배우(지난 4월 북콘서트)] <br>"무언가 이익을 추구하려고 나온 게 아니냐는 말을 많이 듣는데…. 공개적으로 윤지오라고 (밝히고) 나오기 전에 13번의 증언을 마친 바 있습니다. 이제 16번이 됐고…." <br><br>Q3-1. 지금은 아파서 한국에 못 들어온다는 거 아니에요? <br><br>그렇게 주장을 하고 있죠. <br> <br>하지만 불과 7개월 전에는 아픈 기색을 찾아볼 수 없었는데요, <br> <br>북콘서트장에서 노래도 불렀습니다. <br> <br>[윤지오 / 배우(지난 4월 북콘서트)] <br>"세상은 어제와 같고 시간은 흐르고 있고 나만 혼자 이렇게 달라져 있다…" <br> <br>유명세를 타면서 SNS와 개인방송을 진행한 건 물론이고요, <br> <br>증언자 보호를 위해 비영리단체를 만들겠다면서 1억 5천 만원의 후원금까지 모금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 돈을 과연 공익을 위해 썼는지가 불분명하다는 겁니다. <br><br>Q3-2. 이 부분에 대해선 뭐라 그래요? <br><br>"후원금을 사적으로 사용한 내역이 없고, 3명에게 매달 생활비를 제공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하지만 그 대상이 누군지, 얼마씩 지원하는지는 말하지 않았는데요, <br> <br>후원자 400여 명은 후원금 반환 집단소송까지 제기한 상태입니다. <br> <br>윤 씨는 7개월 전 한국을 떠나면서 소송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 <br>[윤지오 / 배우(지난 4월)] <br>"저 증인이잖아요. 제가 무슨 가해자, 범죄자예요? 당연히 맞고소해야죠. 죄가 없는데." <br><br>Q 3-3. 책에 대한 수입도 있었을 거 아니에요. 한국에서 돈을 많이 벌었을 거 같은데? <br><br>자서전을 내면서 12%의 인세 계약을 맺었다고 하거든요. <br> <br>유명작가 수준인데, 인세까지 더한다면 장자연 사건과 관련해서 윤 씨가 벌어들인 수입은 상당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<br>Q4. 그런데 윤 씨가 한국에 올 가능성이 있나요? <br><br>그게 문제입니다. <br> <br>최순실의 딸 정유라의 예를 들어보면요. <br> <br>2017년 1월에 덴마크에서 검거가 됐는데, 한국에 송환될 때까지 5개월을 끌었습니다. <br> <br>강제송환절차에 불복해서 소송을 이어갔던 건데, 당시 옥중 인터뷰를 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정유라 / 최순실 딸] <br>"아이 때문에 마음이 아파요. 아이 곁엔 아버지도, 어머니도, 할머니도 아무도 없잖아요. 아직 아무도 진실이 뭔지 몰라요. 엄마(최순실)가 나쁜 일을 했든 안했든 엄마이고 나이가 들었어요." <br> <br>항소심을 철회한 뒤에야 한국으로 송환됐는데요, <br> <br>490억 원을 횡령한 혐의로 적색수배가 내려졌던 유병언의 장녀 유섬나 씨는 송환될 때까지 3년 넘게 걸렸습니다. <br> <br>특히 윤지오 씨는 캐나다 영주권자 아니겠습니까? <br> <br>강제송환 불복 소송을 진행하면서 캐나다에서 시간을 끌 가능성이 있습니다. <br><br>언젠가는 진실이 밝혀져야겠죠. 백브리핑 최석호 차장이었습니다.